인증 없는 장난감·유모차·온수매트는 ‘알·테·쉬’서 못 산다

  • 그저께
앞으로 인증 마크가 없는 어린이용 완구나 물놀이 기구 등은 알리·테무 등을 통한 직구가 불가능해진다.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화장품·위생용품 등에 대해선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유해성이 확인되면 국내 반입을 차단한다.
 

 ━
  직구에도 KC인증 의무화
  정부는 16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소비자 안전 강화 및 기업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그간 해외 직구로 구매하는 제품은 국가인증통합마크(KC) 인증 등 안전 확인 절차가 없어도 국내 반입이 가능했다. 이 때문에 위험 제품의 반입이 늘자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안전 인증을 필수로 하는 품목은 80개로 지정한다. 일단 어린이용품 34개 품목은 KC 인증이 있어야만 국내로 들여올 수 있다. 학용품·장난감·자전거·유모차·물놀이기구 등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에 규정된 모든 어린이 제품이 포함된다. 전기·생활용품 34개 품목도 KC 인증을 의무화한다. 전선·코드·스위치·전기온수매트·조명기구 등이 그 대상이다.  
 
또 살균제나 소독제 등 생활화학제품 12개 품목도 승인을 받지 않은 제품이라면 직구를 원천 차단하기로 했다. 80개 인증 대상 품목이 아니더라도 피부에 직접 닿는 화장품이나 장신구 등에 대해 검사해 사용 금지 원료를 포함했거나 납·카드뮴 등이 기준치를 초과했다면 국내 반입을 금지한다.
 

 ━
  알테쉬 공습…정부 “소비자 보호 우선”
  이른바 ‘알·테·쉬’로 불리는 중국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직구가 늘면서 소비자 불만·분쟁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달 온라인...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9726?cloc=dailymotion

추천